안녕하세요 핫챠 입니다. 다들 코로나로 인해 코와 입을 잘 가리고 다니고 계신가요? 불편하지만 마스크를 꾸준히 쓰고다니시는 분들에게 최근 마스크에 대한 행정명령이 있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마스크는 착용이 의무 사항이 됩니다.
오는 13일을 기준으로 마스크에 대한 행정명령이 적용됩니다. 즉,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신 분들에게 즉, 마스크 미착용자에게 과태료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기준은 위기경보 수준과 시설, 장소에 따라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합니다. 행정명령에 따른 과태료는 이용 시설을 운영하는 운영자에게는 300만원 이하, 그리고 이용자에겐 10만원 이하가 부과 됩니다. 10월에 발표를 하게 되었고 오는 13일 부터 적용이 되기에 꼭 알고 있어 할 것 같습니다.
한 번에 알아보는 행정명령
과태료 부과 대상 : 마스크를 미착용자에 대하여, 이용시설 운영자는 300만원 이하, 이용자 1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기간 : 오는 13일 이후 위기경보 수준 '경계' 나 '심각' 단계 에서 행정명령권자가 필요인정하는 기간
과태료 부과 장소 : 집합제한 시설, 대중교통, 집회, 시위장, 의료기관, 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등
제외 대상자: 14세 미만, 뇌병변, 발달장애인,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사람, 호흡기 질환 등의 의학적 소견을 가진 사람 등
<출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 보도자료 - 10.13 정례브리핑>
기타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 상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음식물 취식, 개인위생 활동, 의료행위, 촬영, 통역, 스포츠 혹은 악기연주, 신원 확인 의 경우에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결혼식장 예식중 에서는 신랑,신부,양가 부모님 등 혼주는 마스크를 벗어도 됩니다.
마스크를 깜빡 할 수도 있지! 꼭 과태료 내야돼??
물론 마스크를 깜빡 할 수도 있지만, 현재 국제적인 상황을 보면 최악의 상황이 계속 되고 있음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당장의 유럽을 예시로만 보아도 코로나로 인해 정부가 올바른 역할을 해낼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으니까요.
우리나라는 유럽에 비하면 상황이 안전한 편이다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국민의 안전을 위해 적어도 행정명령을 내리고 예방을 할 수 있는 상황이죠. 그리고 최근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정례브리핑에서 공공장소에 마스크를 비치하겠다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 노인요양시설·고아원·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마스크 약 2천만 개를 무상으로 비치예정
* 경찰관·의경 및 군인 등이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비치
* 지자체 주민센터, 도서관과 주요 여객선·버스 터미널, 철도역, 공항 유,무상으로 마스크를 비치
* 의료기관, 음식점, 운동시설, 학원 및 유통물류센터 등에 대해 비치하도록 요청 계획
<출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 보도자료 - 10.13 정례브리핑>
행정명령으로 정립된 이상 이제 마스크는 필수
이로써 마스크산업은 다시 호황이 될까?
올해 초 있었던 마스크 사재기와 수요 폭증이 다시 한 번 언급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10월 이후로는 마스크 사업의 수요가 공급을 따라잡지 못해 마스크 공장이 도산하거나, 해외로 수출을 하는 상황입니다. 어쩌면 이번 행정명령으로 다시금 마스크 사용과 수요를 늘려 볼 수도 있을지 모릅니다. 개인적으로는 국내 마스크 사업시장에 대한 활력으로 작용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분명한건 지금부터라도 마스크 착용이 필수가 되므로, 마스크가 필요하게 되었다는 거죠. 앞으로도 코로나로 인하여 이제 마스크는 무조건 필요한 일상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마스크를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먼저 마스크가 있는 분들이라면 올바른 마스크 착용 방법부터 알아두면 좋을것 같습니다.
미보건복지부(CDC) 에서 알려주는 올바른 마스크 착용 방법
1. 마스크를 착용하기 전에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해 손을 깨끗하게 씻어낸다.
2. 마스크로 코와 턱을 덮고, 턱 아래를 고정합니다.
3. 얼굴 측면을 맞춥니다.
4. 마스크를 쓰고 편하게 숨을 쉴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CDC는 호기 밸브 또는 호기구가 있는 마스크나 천 마스크는 감염원 통제 용도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과 함께 개인 위생을 꼼꼼히 지키면 코로나에 대해서 좀더 적극적으로 예방 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하루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트렌드를 위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편]틱톡 TikToK , 버려진 SNS의 끝은 어딘가? 틱톡이 성장 못하는 이유 정리 - SNS 리뷰 (0) | 2020.11.26 |
---|---|
꽃 성향 테스트, LU42 꽃 으로 보는 MBTI(링크첨부) (0) | 2020.11.23 |
당근마켓, 중고시장 어플으로 알아보는 최신 트렌드 (0) | 2020.11.09 |
가사는 배열인가? 개성이 돋보이는 래퍼, 래원 (0) | 2020.10.17 |
댓글